
제주도가 추진하는 대중교통 정책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시민사회단체의 쓴소리가 나왔다.
탈핵기후위기제주행동은 14일 논평을 내고 “생색내기용 차 없는 거리가 아닌 진심을 담은 대중교통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제주행동은 “섬식 정류장과 양문형 버스 도입 등 화려하게 돌아온 서광로 간선버스급행버스체계(S-BRT) 1단계 사업이 의견수렴 단계에서부터 부침을 겪고 있다”며 “대중교통에 대한 정책 전반이 말만 앞설 뿐 내용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모습을 지속해서 드러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먼저 서광로 S-BRT 1단계 사업은 기존에 인도를 크게 축소하고 가로수를 대거 잘라내는 것을 개선하긴 했으나 여전히 인도 침범이 발생하고 일부 가로수가 옮겨져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며 “자가용 운전자의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도로 다이어트를 통해 보행공간을 침범하지 않는 BRT사업을 요구했으나 필요 이상으로 큰 섬식 정류장으로 인해 보행공간이 침범당하는 것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또 “더 큰 문제는 지금 진행하는 S-BRT사업이 트램 도입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다는 점”이라며 “‘대중교통 정책 발전방안 마련 토론회’에서 발제자가 뜬금없이 트램 도입을 거명했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더불어 “서귀포운수의 비정상적인 운영을 솜방망이 처분하는 것 역시 대중교통에 대한 오영훈 도정의 입장을 여실히 보여준다”며 “제주도는 서귀포운수에 대해 면허취소 등 강력한 처분을 내리고 직접 인수해 공영 형태로 전환해야 하지만 노선 축소와 버스감차라는 행정처분을 하는데 그쳤다”고 꼬집었다.
제주행동은 “수소버스도 논란의 중심에 섰다. 당초 전기버스로 구입할 예정이던 11대의 공영버스가 갑자기 수소버스로 변경되어 구입됐지만, 정작 수소버스가 투입될 노선이던 300번과 301번 노선은 버스 노선개편 과정에서 민간업체 노선으로 변경되는 촌극이 벌어졌다”며 “대중교통이 오영훈 도지사의 입맛대로 뒤죽박죽 엉망이 되고 있다”고 힐난했다.
아울러 “오영훈 도지사는 지난 연북로에서 진행된 차없는 거리를 강행하며 ‘제주도민들이 자동차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했다”며 “불편한 자가용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대중교통의 편리가 있어야 하지만 현재 도정의 계획이 과연 그것을 담보하고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제주도는 현실을 직시하고 미래 세대에게 절망이 아닌 희망을 보여줄 수 있는 대중교통 정책을 만들고 실행하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