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삼 제주시장은 10일 오전 9시 30분 시청 기자실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전국적인 산불 우려로 2023 제주들불축제 중 불 관련 행사를 모두 취소한다고 밝혔다. ⓒ제주의소리

전국적인 산불 위험 속 갑작스럽게 취소된 오름불놓기 관련 제주들불축제의 방향성을 다시 논의해야 한다는 주문이 쏟아진 가운데 제주시가 시민 의견 수렴에 나설 전망이다. 

강병삼 제주시장은 14일 주간 간부회의를 열고 제주들불축제 관련 시민 다수 의견을 들어볼 방안을 찾아달라고 주문했다. 

강 시장은 지난 12일 막을 내린 축제를 준비한 공직자들의 노고를 격려한 뒤 앞으로 축제 시기나 진행 방법을 바꾸는 등 시대 트렌드에 맞는 축제 발전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오영훈 제주도지사 역시 들불축제 관련 “축제 방향성을 다시 논의해야 할 때”라고 밝힌 바 있다. 오 지사는 13일 “달라진 시대적 상황이나 조건을 확인해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고 말한 뒤 제주들불축제를 지목해 “축제 발전방향을 다시 한번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해 강 시장은 오픈 채팅방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를 예로 들며 다양한 소통 채널을 운영해 시민 의견을 듣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이어 강 시장은 도에서 추진하는 ‘15분도시 제주’ 도민참여단 구성 관련, 생활권역별 전문지식과 대표성을 가진 사람이 참여단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도와 협업해달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과 관련해서는 충실한 도민참여단이 구성될 수 있도록 도민 공론화를 강화해달라고 밝혔다. 

또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의 약칭인 ‘4.3 사건법’ 관련 “도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4.3 특별법’과 괴리가 있어 개정이 필요하다. 명칭이 변경될 수 있도록 도와 협업해달라”고 피력했다.

이 밖에도 플로깅팀과 지난주 2040 화통간담회에서 대화를 나눴다며 “단체가 필요로 하는 쓰레기봉투를 비롯한 환경 정비용품을 지원하고 바다환경지킴이의 활동 장소 등을 공유해 달라”고 말했다. 

강 시장은 “신속한 재정집행은 지역경제 활력을 위해 시에서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경제정책으로 이를 위해 전부서가 적극적으로 노력해 달라”며 “해빙기를 맞아 도로 급경사지 포트홀과 공사장 시설물 균열 등 점검을 강화해 안전사고를 예방해 달라”고 요청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