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시민 의견 수렴 온라인 ‘들불축제 소통방’ 운영

2년 연속 불놓기 행사가 취소되는 등 존폐 기로에 선 제주들불축제 관련 논의의 장이 마련된다.
제주시는 들불축제 발전 방향에 대한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온라인 채널 ‘들불축제 소통방’을 개설, 운영한다.
올해 제주들불축제는 4년 만에 대면 행사로 열렸지만, 전국적인 산불 위험에 따른 산불경보 ‘경계’가 발령되면서 축제 핵심인 오름불놓기 등 불 관련 프로그램이 전면 취소된 바 있다.
더군다나 기후위기를 비롯한 환경이슈 등 시대 변화에 따라 들불축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두되면서 제주시는 이 같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소통방을 마련했다.
들불축제 소통방은 오는 31일까지 운영되며, 카카오톡 오픈채팅에서 ‘들불축제 소통방( open.kakao.com/o/gYWJzEPe )’을 검색한 뒤 참여할 수 있다.
제주시는 시민 소통방과 더불어 공직자를 대상으로 축제 발전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병행한다. 주요 설문 내용은 △축제 존폐 여부 △개최 시기 △오름불놓기에 대한 의견 △개선점 등이다.
제주시 관계자는 “제주들불축제의 발전 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참신한 제안에 대해 열린 자세로 소통할 것”이라며 “의견들을 적극 반영해 향후 축제 평가보고회에서 개선방안이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 시민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제주들불축제는 과거 방목이 이뤄질 당시 해묵은 풀과 해충을 없애기 위해 불을 놓던 제주지역 목축문화인 ‘방애’와 정월대보름 소원 빌기 의례 등을 계승·재해석한 행사다.
1997년 이후 매해 정월대보름마다 축제가 열렸지만, 제주시는 2013년부터는 기상악화와 관광객 유치 등을 이유로 음력 2월 15일인 절기상 경칩이 있는 주말로 바꿔 운영 중이다.
관련기사
- 강병삼 제주시장 “들불축제, 시민 의견 수렴 방안 찾아달라” 주문
- 오영훈 지사 “들불축제 방향성 재논의 필요...제주만 생각할 수 없어”
- ‘달라진 시대’ 26년 만에 존폐 기로에 선 제주들불축제
- 기후위기 제주들불축제 폐지론 “환경 고려한 축제로 거듭나야”
- 불 없는 제주들불축제라도…새별오름 일대 차량 정체 ‘북적북적’
- “들불축제 환경파괴” vs “전통문화-경제가치 높아”
- 제주시 ‘들불축제→들축제’ 뒤늦은 판단, 열망이 부른 ‘火’
- 산불 우려에 결국 행사 도중 “불 빼라”…결국 축제 중 ‘불 없는’ 제주들불축제
- 제주시, 계속된 산불-건조 기상에 결국 ‘들불축제’ 일부 취소
- 제주녹색당 “기후위기 시대 제주들불축제 전면 취소해야”
- 제주녹색당, 들불축제 ‘숙의형 정책개발’ 청구 서명 나서
- 강병삼 제주시장, 간부회의서 ‘4.3폄훼 현수막 철거’ 격려
- 제주녹색당 “논란의 ‘들불축제’ 숙의민주주의 조례 실현” 촉구
- 제주들불축제, 5만장 소원지 ‘활활’ 이번이 마지막 될까
- 시험대 오른 ‘들불축제’, 제주시 원탁회의 운영위 14명 구성
- 25년 이어온 제주들불축제 ‘오름 불놓기’ 폐지, 2024년 축제 건너뛴다
- 강병삼 시장 퇴임 전 마무리 될까…제주들불축제 ‘불놓기’ 존폐 씨름 골머리
- ‘활활’ 대신 ‘반짝’, 들불 없는 2025 제주들불축제 어떻게 열릴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