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환경·언론·문화예술 등 구성…3차 회의 거쳐 권고안 작성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드라이브 스루 방식으로 열렸던 2021년 들불축제 모습.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드라이브 스루 방식으로 열렸던 2021년 들불축제 모습.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영리병원에 이어 두 번째로 숙의형 정책개발 시험대에 오른 ‘제주들불축제’ 관련 원탁회의를 진행하기 위한 운영위원회가 구성됐다. 

제주시는 들불축제 숙의형 원탁회의에서 논의되는 주요사항을 결정하고 최종 권고안 작성 시 객관성과 공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원탁회의 운영위원회’를 구성했다. 

제주지역 최대 문화관광 행사인 들불축제는 봄철 산불이 반복되면서 불놓기 행사가 잇따라 취소된 데다 환경보존과 기후위기 시대에 역행한다는 지적이 일면서 적정성 논란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제주녹색당이 만 19세 이상 도민 749명의 서명을 받아 ‘들불축제 숙의형 정책개발 청구인 서명부’를 제출, 기준 인원을 충족하면서 심의가 진행됐다.

이후 숙의형 정책개발청구 심의회는 숙의형 정책개발 방법으로 원탁회의 방식을 정했으며, 제주시는 심의결과에 따라 6개월 이내에 원탁회의 방식으로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

원탁회의 운영위는 숙의형 정책개발을 위해 별도 한시적 위원회 등을 구성 운영할 수 있는 ‘숙의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주민참여 기본조례’ 시행규칙에 따라 구성됐다. 

위원은 시민단체, 언론, 학계, 관광 등 다양한 분야 인사 14명으로 구성됐으며, 이들은 22일 위촉식을 가진 뒤 원탁회의 심의 의결, 토론단 참여규모 선정, 개최진행상황 점검, 권고안 작성 등 역할을 하게 된다. 

운영위는 △오효선 제주시 문화관광체육국장 △위영석 한라일보 부장 △황의선 MBC디지털사업국장 △김주겸 제주대 행정학과 교수 △권범 변호사 △홍영철 제주참여환경연대 공동대표 △이영웅 제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고명희 전 제주여성인권연대 대표 등이 참여한다.

또 △박준형 제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봉사단 착한가게 이사 △강인철 제주도관광협회장 직무대행 △이창훈 한국사진작가협회 제주도지회장 △김동현 사단법인 제주민예총 이사장 △구대현 (사)제주축제산업진흥원 이사 △정도연 브로콜리404 대표 등도 포함된다.

제주시는 7월 중 운영위 회의를 열어 원탁회의 일정을 확정짓고 의제 및 참가단 범위 선정, 용역 착수보고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어 8월 중 2차 회의를 열어 청구인과 피청구인 측 전문가 선정 논의, 원탁회의 준비 상황 점검 등을 진행하고 9월 중 용역 결과 보고, 권고안 작성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