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지역 최대 문화관광 행사 중 하나로 꼽히는 제주들불축제가 결국 숙의형 정책개발 시험대에 선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9일 오전 9시 30분 제주도청 삼다홀에서 제주도 숙의형 정책개발청구심의회 회의를 열고 들불축제에 대한 숙의를 원탁회의 방식을 통해 추진키로 결정했다.
제주도는 지난 4월 18일 청구인 749명이 들불축제 존폐와 관련해 숙의형 정책개발을 청구함에 따라 내용 검토를 거쳐 이날 숙의형 정책개발청구심의회를 열었다.
숙의형 정책개발청구심의회는 '제주특별자치도 숙의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주민참여 기본조례' 제10조 제1항을 근거로 한 심의기구다.
심의회의 의장은 당연직으로 제주도 행정부지사가 맡으며, 주민 공모를 통해 위촉된 8명을 포함해 숙의형 정책개발전문가 등 총 15명으로 구성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들불축제와 관련한 숙의형 정책개발 청구건에 대해 △숙의형 정책개발 추진 여부 △원탁회의, 공론조사, 시민배심원제 등 숙의형 정책개발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그 결과 들불축제 건은 원탁회의 방식을 통해 숙의형 정책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들불축제를 주최·주관하는 제주시는 심의결과에 따라 원탁회의 방식으로 6개월 이내에 정책개발을 실시해야 한다.
원탁회의는 일반시민을 비롯해 관련 전문가, 활동가, 정책결정자 등이 한 자리에 모여 사회적 의제를 주제로 테이블별로 토론하고 다수 참여자가 제안한 의견에 대해 전체의견을 재수렴해 정책을 만들어가는 방식이다.
숙의형 정책개발청구 심의는 2018년 녹지국제병원을 안건으로 다룬 이후 두번째다.
김성중 부지사는 "도민사회의 건강한 공론 형성과 숙의 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제주녹색당 “들불축제 숙의 정책개발 방식, 공론조사-원탁회의 적합”
- 숙의 시작된 제주들불축제, 강병삼 시장 “적극 협업” 주문
- 제주 들불축제 ‘존폐’ 시민들이 결정!...숙의형 논의 시작
- 창고에 쌓인 소원지 5만장 ‘어쩌나’ 산림청 “지금은 못 태워”
- 제주들불축제, 5만장 소원지 ‘활활’ 이번이 마지막 될까
- 시험대 오른 ‘들불축제’, 제주시 원탁회의 운영위 14명 구성
- 존폐 아니면 대안? 갈림길 선 ‘제주들불축제’ 200명 원탁회의 시작
- 제주 들불축제 권고안 발표 돌연 연기 ‘공정성 논란까지’
- 제주녹색당, 들불축제 권고안에 “사실상 불 없는 축제 요구한 것”
- 25년 이어온 제주들불축제 ‘오름 불놓기’ 폐지, 2024년 축제 건너뛴다
- 강병삼 시장 퇴임 전 마무리 될까…제주들불축제 ‘불놓기’ 존폐 씨름 골머리
- 산림청 “오름 불놓기 X” 유권해석, 제주들불축제 ‘조례-법 충돌’ 운명은?
- ‘활활’ 대신 ‘반짝’, 들불 없는 2025 제주들불축제 어떻게 열릴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