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4.3희생자유족회를 비롯한 전국 70개 단체가 4.3 왜곡·폄훼 발언을 일삼은 국민의힘 최고위원들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오는 21일까지 공식적인 사과가 없다면 강경대응하기로 했다.
4.3유족회와 제주4.3평화재단, 4.3연구소,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 제주4.3도민연대 등 70개 단체는 17일 공동 입장문을 내고 “국민의힘 태영호·김재원 최고위원은 4.3 망언에 대해 사죄하고, 역사적 진실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70개 단체는 “태영호, 김재원 최고위원은 지금까지 4.3 희생자와 유족, 제주도민에게 아무런 사과를 하지 않고 있다. 이들은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에게도 질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도민 앞에 사죄하고, 4.3의 역사적 진실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국민의힘 태영호, 김재원 최고위원은 21일(금)까지 4.3 망언에 대해 사죄해야 한다. 사죄와 공식적인 입장 발표가 없으면 국민의힘 윤리위원회에 제소하고, 명예훼손에 대한 법적 조치를 철저히 강구할 것”이라고 강경대응을 시사했다.
앞선 2월 태 위원은 제주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 과정에서 “4.3은 김일성 일가에 의해 자행된 만행”이라며 4.3의 역사를 왜곡했다.
도민사회의 사과 요구에도 태 위원은 “어떤 점에서 사과해야 하는지 납득되지 않는다. 내가 특정인들에 대해 조롱이나 폄훼를 한 일도 없다”며 “유족이나 피해자 단체가 내 발언의 취지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는 망발을 이어갔다.
김재원 최고위원은 윤석열 대통령의 75주년 제주4.3희생자추념식 불참 논란에 대해 “대통령은 보통 삼일절과 광복절 정도 참석한다. 4.3 기념일(추념일)은 이보다 격이 낮은 기념일 내지 추모일인데 무조건 대통령이 참석하지 않은 것을 공격해대는 자세는 맞지 않다”고 말해 도민사회의 공분을 샀다.
4.3추념식 전후로 윤 대통령이 야구장과 대구 서문시장 등 방문 일정을 소화하면서 야구장 시구가 4.3 추념식보다 격이 높아서 대통령이 방문한 것이냐는 역풍을 맞았다.
|
다음은 공동 입장문 전문과 참가 70개 단체(무순) 4·3에 대한 왜곡과 망언으로 4·3희생자를 모독하고 유족과 제주도민들의 가슴에 대못을 박은 국민의힘 태영호, 김재원 최고위원은 지금까지 희생자와 유족, 제주도민에게 아무런 사과를 하지 않고 있다. 심지어 이들의 발언은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에게조차 질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태영호, 김재원 두 최고위원은 4·3 망언에 대해 희생자와 유족, 제주도민 앞에 사죄하고 4·3의 역사적 진실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밝혀야 한다. 태영호 최고위원의 거듭된 망언은 의도적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그는 지난 2월 13일 제주에서 “제주4·3사건은 명백히 北 김일성의 지시에 의해 촉발”된 것이라는 등 역사적 사실과 전혀 다른 허위 사실을 유포한 것을 시작으로 계속해서 망언을 이어갔다. 그는 집권당의 최고위원으로서 여야가 합의해 통과시킨 4·3특별법도, 정부의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도 부정하는 발언을 해왔다. 그의 발언은 국민들에게 4·3의 진실을 왜곡하고 허위 사실을 퍼뜨리는 것에 다름 아니다. 4·3단체와 유족, 제주도민들은 태 최고위원의 망언을 역사 왜곡으로 규정하고 “4·3을 폭동으로 폄훼해 온 극우의 논리와 전혀 다를 바가 없으며 역사적 사실과 전혀 다른 내용을 유포”시키는 것에 대해 비판하고, 공식적인 사과를 요구 했다. 하지만 태 최고위원은 우리의 사과 요구를 무시하고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더군다나 태 최고위원은 지난 4월 3일, 제75주년 4·3추념식 당일 열린 국민의힘 지도부 회의 직후 기자들에게 “어떤 점에서 사과해야 하는지 납득이 되지 않는다. 내가 특정인들에 대해 조롱이나 폄훼를 한 일도 없다”며 사과 거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또한 “유족이나 피해자 단체가 내 발언의 취지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며 사과를 요구한 4·3유족들을 조롱하는 발언까지 서슴치 않았다. 태 최고위원의 거듭된 4·3 망언은 제75주년 4·3추념식을 앞두고 극우 보수정당 및 단체의 4·3 폄훼 현수막 내걸기, 자칭 서북청년단의 후예라는 자들의 집회소동 등 4·3흔들기로 이어지면서 유족과 도민들의 가슴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김재원 최고위원의 발언도 마찬가지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 4월 4일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윤석열 대통령의 추념식 불참 이유를 설명하면서 “우리나라 국경일에는 삼일절, 제헌절, 개천절, 한글날이 있는데 대통령은 보통 삼일절과 광복절 정도 참석한다”며 “4·3기념일은 이보다 격이 낮은 기념일 내지 추모일”이라고 주장하는 망언을 했다. 제주도 인구의 10%가 희생된 추념식이 격이 낮은가! 김 최고위원의 격은 어디에 있는가! 김 최고위원의 발언은 국가기념일로 지정돼 정부 주관으로 엄수되고 있는 4·3추념식을 공개적으로 폄훼하고 희생자와 유족, 그리고 제주도민의 명예를 또 다시 훼손했다. 이에 우리는 4·3역사 왜곡 및 폄훼 발언으로 희생자와 유족, 그리고 제주도민의 명예를 훼손하고 국민적 분노를 불러일으킨 국민의힘 태영호, 김재원 최고위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하나. 국민의힘 태영호, 김재원 최고위원은 21일까지 4·3 망언에 대해 사죄하고 4·3의 역사적 진실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밝혀라! 하나. 우리는 21일까지 두 최고위원의 사죄와 공식적인 입장 발표가 없으면 국민의힘 윤리위원회에 제소하고 명예훼손에 대한 법적인 조치를 철저히 강구할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 2023년 4월 17일 제주4·3희생자유족회, 제주4·3연구소, 제주4·3도민연대, 제주민예총,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 제주4·3평화재단, 제주4·3희생자유족청년회, 재경제주4·3희생자유족회, 재경 제주4·3희생자청년유족회, 제주4·3범국민위원회, 재미4·3기념사업회·유족회, 재일본제주4·3사건희생자유족회, 제주4·3을생각하는모임-도쿄, 제주4·3을생각하는모임-오사카, 대만4·3동지회, 대만지한문화협회, 진실과정의를위한제주4·3국제네트워크, (사)진아영할머니삶터보전회, (사)제주다크투어, 제주4·3문화해설사회, 제주민주화운동사료연구소, 곶자왈사람들, 서귀포시민연대, 서귀포여성회, 양용찬열사추모사업회, 제주여성인권연대,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제주주민자치연대, 제주참여환경연대, 제주평화인권센터, 제주환경운동연합, 제주YMCA, 제주YWCA, 제주흥사단, 제주장애인연맹DPI, 제주장애인인권포럼, 제주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 제주여민회, 노무현재단제주위원회,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제주도연합,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제주지역본부, 전국농민회총연맹제주도연맹, 김동도열사정신계승사업회, 제주생태관광, 제주통일청년회, 한살림제주생산자연합회, (사)한국청년센터제주지부, 제주청년협동조합, 마중물, 전교조 제주지부, 제주평화인권연구소 ‘왓’, 제주대학교 민주동문회, 제주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평화여행자, 제주생태관광협회, 사단법인 제주문화예술공동체, 세월호제주기억관, 노동자역사 한내 제주위원회, 제주대학교총학생회, 제주통일평화교육센터, 시민정치연대 제주가치,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제주지역본부, 제주작가회의, 제주바람, 615공동선언실현을위한제주본부, 탐라미술인협회, 의료연대 제주지역본부, 제주대학교 4·3동백길, 4·3동백서포터즈 |
관련기사
- “공식 사과가 우선” 선결조건 내건 4.3유족들...與지도부, 진정성 의심 받는 이유?
- “제주4.3에 대한 국민의힘 공식 입장 뭐냐” 물어도 대답 못하는 김재원 최고위원
- 제주4.3유족회 “4.3은 김일성 지시로 촉발” 국힘 태영호 명예훼손 고소 검토
- 제주4.3단체, ‘4.3망발’ 태영호·김재원 최고위원 국민의힘 윤리위 제소
- 제주4.3 왜곡-폄훼 국힘 김재원-태영호 최고위원 당원권 정지 중징계
- 경찰, 제주4.3 왜곡·폄훼한 국민의힘 태영호 의원 ‘불송치’
- 제주4.3 망발 손해배상 무대응 국민의힘 태영호 선고 앞둬 ‘부랴부랴’
- 제주4.3 망발 태영호, 손해배상 법정서 “허위사실-명예훼손 아냐” 주장
- 제주4.3진상조사보고서 '허위' 규정에도 국힘 태영호, 김씨 일가 지령 고집
- 제주4.3 폄훼·왜곡 태영호 ‘망발’, 법원이 유족 눈물 닦아줄까
- “법원 명령이 우스워?” 제주4.3 명예훼손 태영호 손배소 변론 중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