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多>는 독자 여러분의 다양한 이야기를 담아내겠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연말까지 잘 끌고 갈수 있을까 걱정했지만 다행히 30편을 향해 순항하고 있습니다. 소통을 위해 글도 딱딱하지 않은 대화 형식의 입말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제주의소리>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 등을 통해 질문을 남기시면 정성껏 취재해 궁금증을 해소해 드리겠습니다. <편집자 주>

[소리多] (28) 대한민국서 가장 높은 무덤 확인...1982년 신혼여행 등반 중 20대 부부 동사 

1.jpg
▲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남벽 정상 부근에 만들어진 돌무덤. 해발 1900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무덤이다. 이곳은 1982년 4월 등반 도중 숨진 20대 신혼부부가 잠들어 있다. ⓒ제주의소리
12년 전인 2006년 9월 한라산 해발 1600m 고지에 거대한 무덤이 있다는 소식을 처음 접했습니다. 수소문 끝에 후손들과 연락이 닿았죠.

현장을 봐야 하니 후손들을 따라 무조건 한라산 어리목으로 향했습니다. 건장한 성인 5명이 호미(낫)와 지팡이를 들고 산행을 시작했습니다.

2시간 넘게 오르니 해발 1608m의 만세동산이 눈 앞에 펼쳐졌습니다. 여기서 부터였습니다. 우거진 숲과 가시넝쿨, 거친 언덕을 넘어 '진짜 산행'이 시작됐습니다.

다시 생각해보니 그분들에겐 성묫길이었죠. 방향도 모른채 가다보니 민대가리오름 앞에 거대한 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묘 너머로 제주시내가 한눈에 펼쳐졌습니다.

묘의 주인은 장흥 마씨(長興 馬氏) 강진파 입도조인 故 마희문(馬喜文)씨. 일단 크기부터 달랐습니다. 봉분은 일반 묘의 갑절 이상이고 산담 둘레만 40m에 이를 만큼 거대했습니다.

3.jpg
▲ 한라산 1600m고지 만세동산 옆 이른바 돗트멍에 위치한 무덤. 장흥 마씨(長興 馬氏) 강진파 입도조인 故 마희문(馬喜文)씨의 묘다. 일반묘의 3~4배에 이를 정도로 거대하다. ⓒ제주의소리
후손들 얘기를 들어보니 그 배경에는 마희문씨의 아들인 덕전(德田) 마용기 스님의 애착이 있었습니다. 마씨는 후손들의 번창을 위해 입도조 묘를 무려 14차례나 이장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장소가 바로 이곳인 한라산 1600m 고지의 돗트멍입니다. 돗트멍은 어미돼지가 누워서 새끼를 젖먹이는 형상을 하고 있다고 전해지는 명당 중의 명당으로 꼽힙니다.

실제 이장 후 가족들에게 좋은 일이 많았다고 하는데 사적인 부분이어서 더 이야기하지 않겠습니다. 어쨌든 힘들었지만 개인적으로 뜻 깊은 취재였습니다. 근데 이게 끝이 아니었습니다.

기사가 나간 후 더 높은 곳에 무덤이 있다는 제보가 이어졌습니다. 1700m 고지에 대한 제보가 있었고, 백록담 바로 밑에 예사롭지 않은 묘가 있다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실제 취재 과정에서 1800m 고지에 원주 원씨(原州 元氏)씨의 묘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10여년 만에 '한라산 최고(最高) 묘지'에 대한 동행 취재까지 준비를 했습니다.

2.jpg
▲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남벽 정상 부근에 만들어진 돌무덤. 해발 1900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무덤이다. 이곳은 1982년 4월 등반 도중 숨진 20대 신혼부부가 잠들어 있다. ⓒ제주의소리
그런데 이보다 더 높은 곳에 무덤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공교롭게도 무덤의 존재는 제주도가 한라산 남벽을 언론에 공개하면서 자연스럽게 드러났습니다.

이 무덤은 한라산 정상 남벽 인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한라산 남벽이 수 십 년간 폐쇄되면서 이 무덤도 자연스럽게 일반인들에게 알려지지 않는 요새(?)가 된 것이죠.

비석에는 ‘김00(마가렛) 김00(요셉)의 묘. 一九八二. 四.二六. 신혼의 아름다움 속에 하느님 곁으로 가다’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당시 상황이 너무 궁금했습니다. 도서관으로 가서 1982년 4월 신문을 뒤졌습니다. 그리고 1982년 4월29일자 濟州新聞(제주신문) 사회면에서 이들의 아픈 사연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은 당시 홍익대에 다니는 대학생 부부였습니다. 1982년 4월5일 서울에서 결혼을 하고 4월24일 제주로 신혼여행을 왔습니다.

입도 이튿날인 4월25일 아침에 이들은 성판악 코스를 따라 정상으로 향했습니다. 이후 연락은 끊겼고 사흘 뒤인 4월28일 오전 10시 한 등반객이 남벽 등산로에서 시신을 발견합니다.

4.jpg
▲ 1982년 4월29일자 濟州新聞(제주신문) 사회면에 보도된 한라산 신혼부부 사망 소식. 제목도 '대학생 신혼부부 등산길 변사'로 소개 돼 있다. <출처:제주신문>
ⓒ제주의소리
발견 당시 김씨 부부는 우의를 입은채 마주보며 쓰러져 있었습니다. 시신 옆에는 먹다 남은 과일이 그대로 남아 있었죠. 당시 신문에서는 사인을 피로동사(疲勞冬死)로 추정했습니다.

한라산국립공원에서 40년간 일했던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는 헬기도 없어 시신 수습이 어려웠다고 합니다. 결국 유족의 동의를 얻어 현장 관계자들이 돌무덤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일반인들의 접근이 쉽지 않아 한라산국립공원 관계자들이 30년 전부터 돌무덤 보호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였다고 하네요.

처음에는 제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무덤이 대한민국 최고 높이의 산소가 된다는 아이디어에서 취재를 시작했습니다. 실제 이를 궁금해 하는 독자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결국 가장 높은 무덤은 찾았지만 신혼부부의 안타까운 소식에 마음이 오히려 숙연해집니다. 비석의 문구처럼 한라산의 품 속에서 고인들이 좋은 곳에 머무르며 기억되길 바랍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