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교원-학부모 6개 단체 공동 기자회견, 교육청의 책임있는 원인 규명 촉구

16일 오후 3시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제주도내 교원 및 학부모 6개 단체가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제주의소리
16일 오후 3시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제주도내 교원 및 학부모 6개 단체가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제주의소리

제주 중학교 교사 사망 사건이 발생한 지 100일이 훌쩍 넘어섰지만 진상조사 결과가 여전히 발표되지 않는 가운데, 제주도내 교원·학부모단체가 교육청의 소극적 태도를 강하게 비판하며 책임 있는 원인 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제주지부, 새로운학교제주네트워크, 제주교육희망네트워크, 제주실천교육교사모임, 좋은교사운동제주모임,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제주지회 등 6개 단체는 16일 오후 3시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실효성있는 교육활동보호 대책을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故 현승준 교사가 우리 곁을 떠난 지 100일이 됐지만 아직도 고인의 죽음의 원인을 밝혀줄 진상조사 결과는 감감무소식"이라며 "지난 5월 22일 고인의 죽음 이후 한 달이 지나서야 유족의 요청으로 진상조사반을 운영하겠다고 약속했지만, 7월에 출범한다던 진상조사반이 지금까지 몇 차례 회의를 했는지, 사건의 실체에 얼마나 다가갔는지조차 알려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지난 8월 28일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은 담화문 형식으로 '교육활동 보호 정책 강화 방안'을 발표한 것과 관련 "故 현승준 교사가 '왜' 돌아가셨는지 원인과 이유도 밝혀내지 못한 상황에서 제주도교육청이 내놓은 교육활동 보호 정책 강화 방안은 또다시 제도를 나열하는 수준에 그쳤다"면서 "무엇이 문제였는지에 대한 진단이 빠져 있었고, 제시된 대응책 역시 현장의 불안을 해소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고 혹평했다.

이들 단체는 "故 현승준 교사의 경우 교육청으로 민원이 접수됐고, 교육청 통합민원팀에서는 학교장에게 연락해 처리하도록 했다. 아마 교육청에서는 특이민원이 아니라고 판단을 했기 때문에 민원대응을 학교로 넘겼겠지만 결국 선생님께서는 홀로 민원을 견디다 결국 우리 곁을 떠났다"며 "도교육청에 접수된 보호자의 민원이 교사의 죽음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학교민원대응팀도, 교육청의 통합민원팀도 역할을 하지 못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특이민원이든 일반민원이든 모든 민원은 교육청에서 관리하고 있어야 하며 특이 여부와 관계없이 언제든 학교와 연계해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교육청으로 직접 접수된 민원은 교육청 책임하에 처리되어야 할 것"이라며 교육당국의 책임있는 대책을 요구했다.

또 이들 단체는 "고인의 명예를 지키고 싶어하는 학생들의 외침과 유족의 바람, 전국 교사들의 열망에 찬물을 끼얹고 싶은 생각이 아니라면 지금이라도 제주도교육청은 진상조사 결과를 발표해야 한다"며 "진상조사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던 많은 이들의 요구가 헛되지 않으려면 그 결과는 실체적 진실에 가까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대립하고 반목하는 모습은 누구라도 바라지 않는다. '교육공동체 관계 복원'과 '교육이 가능한 학교'는 불가능한 영역이 아니다"라며 "고인의 죽음을 헛되이 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진실을 밝히고, 지금의 학교 교육의 위기를 극복할 실질적 대책들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