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교환 타진한 제주경찰, 제주도 "주민수용성 우선, 다른 방안 제시할 것"

[기사수정- 1월13일 17:35] 가능성이 점쳐졌던 제주시 연동 옛 제주경찰청사와 옛 탐라대학교 부지 맞교환이 사실상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윤희근 경찰청장의 발언으로 논의가 촉발되는 듯 했으나, 제주도 쪽의 완강한 반대로 타결에 이르지는 못하는 흐름이다.

13일 제주특별자치도 등에 따르면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이상률 제주경찰청장은 이날 오후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는 오 지사가 신청사 개청식 당시 참석치 못해 인사 차원에서 방문하면서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 지사와 이 청장 간의 독대는 옛 경찰청사와 탐라대 부지 간 교환 논의가 다뤄질지 주목됐다.

최근 들어 실무적 차원에서도 의견 교환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도 관계자는 토지 맞교환과 관련 "아직 이렇다 할 진전이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면서도 "경찰 측으로부터 의견이 제시됐고, 실무적 검토를 했던 것은 사실"이라고 부인하지 않았다. 경찰 측 관계자도 "가능성을 보고 협의를 진행중인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번 논의는 윤희근 경찰청장이 지난달 27일 제주시 노형동 제주경찰청 신청사 개청식에 참석하기 위해 제주를 찿은 자리에서 부지 교환 관련 의견을 내면서 촉발됐다. 윤 청장은 지역현안을 보고받는 과정에서 연동 옛 경찰청사 부지와 서귀포시 옛 탐라대 부지와의 교환 가능성을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에는 아이디어 차원으로 알려졌지만, 제주청 차원에서는 윤 청장의 제안을 상당히 무게감있게 받아들였다는 후문도 뒤따랐다. 이전까지 미온적이었던 경찰 측이 청장의 의견 제시 이후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의견 교환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 이 제안은 나름 설득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기도 했다. 고질적인 사무공간 부족 문제를 안고 있던 제주도로서는 도청 1청사와 2청사 사이에 위치한 제주경찰청사를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

제주도가 2016년 옛 탐라대 부지를 사들일 당시의 토지가는 415억9500만원이었다. 연동 제주경찰청사 부지의 장부가액은 지난해 기준 374억원 가량이지만, 감정평가액은 400억원 안팎으로 형성될 것으로 예상돼 맞교환 가능성이 떠오르기도 했다.

다만, 내부 논의를 거친 제주도는 맞교환의 실익이 떨어질 것으로 판단했다. 옛 탐라대 부지에 경찰교육기관과 기동대 등이 들어선다면 일정 부분 긍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지만, 주민들에게 직접적인 이득이 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검토가 이뤄지긴 했지만, 오영훈 지사의 의중이 완강했다. 오 지사는 해당 토지가 주민들로부터 수용된 곳인만큼 주민들에게 이익이 돌아가는지를 최우선으로 보고 있다"며 "경찰이 토지를 소유했을 시 주민들에게 얼마나 이익이 될지는 의문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르면 다음주 중 오 지사가 직접 옛 탐라대 부지 활용방안과 관련한 입장을 발표할 계획"이라며 "특정 기관을 유치하게 된다하더라도 주민수용이 가장 우선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