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료연대본부, 공공병원 협력형 운영모델 제안 “머리 맞댈 때”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민관협력의원. ⓒ제주의소리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민관협력의원. ⓒ제주의소리

잇단 유찰에 계약 포기까지 이어지며 1년여 넘게 개원하지 못하고 있는 전국 최초 제주 민관협력의원 관련, 제주지역 의료노조가 대안을 제시하고 나섰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제주지역지부는 15일 성명을 내고 ‘공공병원 협력형 운영모델’이라는 대안을 제시했다. 계속된 입찰공고가 아니라 지혜를 모을 때라는 것이다. 

서귀포시는 조건을 대폭 완화한 2024년 서귀포시 365 민관협력의원 사용허가 입찰’ 공고를 내고 재도전에 나섰지만, 개찰 결과 단 한 명도 응찰에 나서지 않으면서 유찰됐다. 

지난해부터 수차례 공고한 끝에 겨우 계약이 체결됐지만, 개인 사정으로 포기서를 제출하는 등 난항을 겪어온 민관협력의원은 5차례 유찰로 앞날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의료연대본부는 제주대학교병원, 서귀포의료원, 제주의료원, 제주권역 재활병원 등 공공병원이 협력, 요일별 다양한 진료과를 열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공공병원들이 다양한 진료과와 치료 섹션을 함께 열어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병원 협력형 운영모델’이 주민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 단체는 야간이나 주말에 발생하는 응급환자 대비와 진료, 이송 대책이 필요할 때 민간 의료 인력으로는 힘들고 공공병원 시스템과 인력이 투입돼야 해결할 수 있다고 피력했다.

제주의료연대본부는 공공병원 협력형 운영모델로 운영되면 기본적인 의료의 질을 담보하고 주민수요와 요구에 따라 응답, 발전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성산이나 표선 등 다른 의료 취약지로 확대, 의료 안전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 단체는 공공병원 협력형 운영모델과 함께 제주도청과 도의회에 민관협력 의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토론회와 공청회를 개최할 것을 제안하고 나섰다.

제주의료연대본부는 “운영 조건을 낮춰 6차, 7차 공고에 나서도 민관협력 의원 운영 문제가 해결되진 않는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입찰공고가 아니라, 민관협력의원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도민의 지혜를 모을 때”라고 주장했다.

이어 “관(官)이 시설과 장비를 넣으면 민(民)이 알아서 잘할 것이라는 생각이 현재의 의료현실에서 허상일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며 “민관협력의원 모델이 보여준 것은 민관협력의원 모델이 맞지 않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서귀포시는 초고령화에 접어들었으며, 대정읍은 초고령 지역이다. 노년층 만성질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며 “주민들이 만성질환 진료를 보기 위해 매번 제주 시내나 서귀포 시내에 있는 종합병원으로 오는 수고가 덜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보건의료는 지역적 특성을 가질 수밖에 없고, 섬 지역인 제주에서는 가용할 수 있는 보건의료 시스템을 집약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공공병원 협력형 운영모델은 한정된 제주지역 보건의료 시스템을 정비하고 발전시킬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제주의료연대본부는 “공공병원 협력형 운영모델은 다양한 전문의 의료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도민의 통합적인 건강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6차 공고로 민관협력 의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지금은 전문가와 도민의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고 꼬집었다.

민관협력의원은 2020년부터 추진된 의료지원 사업으로 행정이 건물과 의료장비를 지원하고 민간 의료진이 운영하는 방식이다. 서귀포시는 대정읍 상모리 3679번지 일대 4885㎡ 부지에 연면적 885㎡의 의원동과 81㎡ 면적의 약국동을 지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