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대형병원, 서귀포시 민관협력의원 운영 ‘관심’
서귀포시 “아직 검토 단계라 조심, 이달 말 갈피”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민관협력의원. ⓒ제주의소리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민관협력의원. ⓒ제주의소리

수차례 유찰과 낙찰, 포기, 재입찰 등 우여곡절을 겪으며 건물을 지어놓고도 1년 6개월째 문을 열지 못했던 서귀포시 민관협력의원 운영에 관심을 가진 의료진이 나타나 주목된다.

민관협력의원 운영 의사를 타진한 곳은 수도권 유명 대형병원을 일컫는 ‘빅5’ 중 하나로 전해진다. 

수도권 빅5 병원은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이다. 서귀포시에 따르면 이들 병원 중 1곳이 운영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파악된다. 

수도권 대형병원이 제주 민관협력의원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지난 4월 제주도가 의료법인도 민관협력의원을 운영할 수 있도록 ‘의료법인 설립 및 운영지침’을 개정 고시하면서다.

의료법인 분사무소 설치 조건에 따르면 임차건물에는 분사무소나 사업장을 개설할 수 없지만, 제주도는 민관협력의원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가능토록 항목을 추가해뒀다.

민관협력의원 운영에 관심을 가진 수도권 대형병원 중 한 곳은 의지를 가지고 의료진 파견 규모와 방식에 대해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달 초에는 민관협력의원이 설치된 대정읍 일대 소방서와 보건소 등 의료 관련 인프라와 민관협력의원 시설 및 장비를 살펴보고 간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해 서귀포시는 해당 병원이 민관협력의원 운영 의사를 타진한 만큼 행정적으로 최대한 협조할 방침이다. 사태 해결을 위한 지원 조례까지 나오는 등 물러설 곳이 없기 때문이다.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민관협력약국과 민관협력의원. 현재 민관협력약국의 경우 의원 개원만 기다리는 상태다. 다행히 약국 운영 의사를 밝힌 약사는 많은 것으로 전해진다. ⓒ제주의소리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민관협력약국과 민관협력의원. 현재 민관협력약국의 경우 의원 개원만 기다리는 상태다. 다행히 약국 운영 의사를 밝힌 약사는 많은 것으로 전해진다. ⓒ제주의소리

최근 제주도의회에는 의원 방치 사태 해결책으로 인건비 등 재정적 지원을 가능케 하는 내용이 담긴 ‘제주특별자치도 민관협력의원·약국 설치 및 운영 조례’ 개정안이 제출되기도 했다.

또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제주지역지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는 13일 오후 민관협력의원 공청회 및 공공운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예고한 상태다. 

민관협력의원에 관심을 둔 의료진들은 그동안 전국 최초라는 타이틀 속 성공 불확실성을 가장 큰 걸림돌로 꼽아왔다. 그러나 대형병원의 경우 실패에 따른 부담이 적어 실제 입찰로 이어질 것이라는 긍정적인 분위기도 감지된다.

전국 최초 민관협력의원은 서귀포시가 지역사회 통합형 의료안전망 구축사업 일환으로 지난 2020년부터 추진해 왔다. 행정이 건물과 의료장비를 지원하면 민간의원이 운영하는 방식이다.

서귀포시는 약 47억원을 투입해 2022년 건물을 완공하고 흉부방사선, 내시경, 복부초음파, 물리치료 장비 등 46대의 의료장비를 갖췄다.

잇단 유찰 끝 여섯 번째 공고를 앞두고 백척간두에 선 전국 최초 민관협력의원이 의료법인 진출에 따른 탈출구를 찾아 나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