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차례 유찰에 의사회 찾아다니며 홍보…의료취약 지자체도 ‘주목’

의료취약지 주민들의 의료불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주도에서 전국 최초로 시도 중인 ‘민관협력의원’의 문을 열기 위해 서귀포시가 사활을 걸고 있다. 

서귀포시는 두 차례 유찰된 전국 최초 제주 민관협력의원 개원을 위한 세 번째 의사 모집을 5월 한 달 동안 진행 중이다. 

민관협력의원은 의료취약지역 주민들의 야간 및 휴일 진료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행정이 건물과 의료장비를 지원하고 민간 의료진이 운영하는 방식의 의료지원 사업이다. 

대정읍을 포함한 서남부권 지역주민들은 휴일이나 퇴근 이후 시간에 병원 진료를 받으려면 서귀포시내나 제주시내까지 먼 거리를 이동 해야만 했다. 

이에 서귀포시는 주민들이 멀리 가지 않고도 진료와 약을 받을 수 있도록 대정읍 상모리에 민관협력의원을 세우고 365일, 밤 10시까지 의원을 운영할 의사를 모집 중이다.

그러나 앞선 두 차례 공고에서 단 한 명의 의사도 응찰하지 않아 그대로 유찰되는 등 상황은 녹록지 않다.

시스템상 개찰이 이뤄지기 전까지 민관협력의원에 몇 명이 입찰했는지 알 수 없는 탓에 서귀포시는 사활을 걸고 각 의사회를 직접 찾아다니는 등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반면 같은 곳에 마련된 민관협력약국 모집에는 9명의 약사가 몰려 일찌감치 낙찰자가 정해졌다. 

민관협력의원 입찰결과는 오는 31일 오후 6시 온비드 시스템을 통한 입찰이 마감된 이후 개찰이 시작되는 6월 1일 오전 10시에 공개된다. 개찰 전까지 입찰 여부를 알 수 없어 서귀포시로서는 애가 타는 상황이다. 

서귀포시 365민관협력의원 내부 모습. 사진=서귀포시.

서귀포보건소 관계자에 따르면 일부 의사회에서 민관협력의원을 찾아 현장을 둘러보고 긍정적인 의사를 보이기도 하는 등 부정적인 상황만은 아니다. 의사협회 역시 공고 내용을 내부에 공유하는 등 협조하고 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의사 인력 수급이 어려운 상황인 데다 민관협력의원의 경우 진료팀 구성, 건강검진 기관 지정 등 사용허가 조건이 있어 긍정적인 신호가 실제 입찰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사용허가 조건과 관련해 서귀포시는 1차 공고에서 제기된 지적을 받아들여 개원 시점을 완화하고 건강검진 기관 지정도 6개월간 유예토록 하는 등 조건들을 완화했다. 또 흉부방사선과 내시경, 복부초음파, 물리치료 장비 등 15종 46대의 의료장비 설치도 마쳤다.

사용 기간은 사용허가 개시일로부터 5년 이내로 1회에 한해 5년 범위 내 연장할 수 있도록 정해졌다. 민관협력의원 시설사용료는 867만원, 의료장비 대부료는 1518만원이다. 최저입찰가는 이를 더한 2385만원으로 책정됐다.

서귀포보건소 관계자는 “지역 의료 발전을 위한 민관협력의원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타지역을 오가며 사활을 걸고 있다”며 “관심들은 있는 것 같은데 마음 맞는 의사를 데려오는 과정에서 이사 등 문제로 설득에 시간이 조금 걸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이번에 유찰이 되더라도 민관협력의원을 운영할 수 있게 하려고 다양한 방안을 고민 중”이라며 “하지만 그런 일이 없도록 정말 최선을 다해 발로 뛰어다니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주 서귀포시에서 처음 시도되는 민관협력의원은 인구 소멸 등 의료가 취약한 다른 지자체에서도 관심이 많은 상황이다. 서귀포시에서 성공해야 타 지자체도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며 “가정을 뒤로하고 희망이 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