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개찰 결과 의료진 지원 전무
협의체 재소집 후속 대응 방안 ‘강구’

전국 최초로 제주에서 시도된 민관협력의원이 문도 열어보지 못한 채 좌초 위기에 놓였다. 

1일 서귀포시에 따르면 이날 ‘서귀포시 365 민관협력의원 사용허가 입찰 공고’를 개찰한 결과 1차와 2차 공모에 이어 단 한 명도 응찰에 나서지 않았다.

서귀포시는 4월13일 2차 공모에도 응찰자가 없자, 담당 공무원들을 전국 각지로 보내 지역 의사협회 등을 상대로 대대적인 홍보 활동을 펼쳤다.

진입 장벽이 높다는 지적에 따라 최초 모집 공고의 운영 기준까지 낮추며 유치에 공을 들였지만 끝내 의료진들의 마음을 돌리지 못했다.

3차 입찰까지 무산되면서 3월 20일 예정이던 개원 일정은 하염없이 미뤄지게 됐다. 추후 공모를 하더라도 상반기 개원은 이미 물 건너갔다.

민관협력의원은 2019년 4월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실시한 지역발전 투자협약 시범사업이다. 그해 서귀포시가 공모해 최종 선정됐다.

당시 서귀포시가 내세운 내용은 지역사회 통합형 의료안전망 구축이다. 행정이 건물과 시설을 지원하고 의사가 임대해 365일 진료하는 전국 최초의 의료취약지 민관협력의원이다.

서귀포시는 의료진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 말 ‘제주특별자치도 공유재산 관리 조례’까지 개정해 공유재산인 건물과 부지 사용료를 대폭 감면했다.

의료기관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민관협력 의원·약국 설치 및 운영 조례’까지 제정했지만 의원 자체가 문을 열지 못하면서 빛이 바래게 됐다. 

서귀포시는 후속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조만간 민관협력의원 협의체 회의를 재소집하기로 했다. 제주도와도 논의를 거쳐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애초 공모를 민관협력의원으로 한 만큼 정책 방향을 수정하기는 어렵다”며 “우선 협의체 회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민관협력의원은 국비 등 4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3679번지 일대 4885㎡ 부지에 들어섰다. 연면적은 885㎡다.

의원 옆에는 연면적 81㎡의 민관협력약국이 조성됐지만 의원이 문을 열지 못하면서 반년 넘게 빈 건물로 남아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