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한규 국회의원, 4.3 왜곡 행위 규탄 현수막 게시

제주시 오라2동 교차로에 내걸린 4.3 왜곡 현수막이 누군가에 의해 훼손된 모습. ⓒ제주의소리
제주시 오라2동 교차로에 내걸린 4.3 왜곡 현수막이 누군가에 의해 훼손된 모습. ⓒ제주의소리

제주 4.3희생자 추념일을 코앞에 두고 등장한 역사 왜곡 현수막이 연일 논란인 가운데, 해당 현수막이 게시 사흘 만에 훼손된 채 발견됐다. 이에 더해 역사 왜곡 행위를 규탄하는 ‘맞불 현수막’이 등장하면서 이목이 쏠리고 있다.

23일 오후 확인한 제주시 오라2동 교차로의 4.3 왜곡 현수막은 누군가에 의해 갈기갈기 찢겨있는 모습이었다.

해당 현수막은 ‘제주4.3사건은 대한민국 건국을 반대하여 김일성과 남로당이 일으킨 공산폭동이다’라는 내용으로, 극우 보수 정당의 4.3 흔들기 행위에 분노를 참지 못한 도민이 훼손한 것으로 추정된다.

역사 왜곡 현수막이 제주 전역을 점령한 지 사흘째. 제주에서는 맞불 현수막까지 등장했다.

23일 제주시 이도2동 교차로에 내걸린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국회의원(제주시을, 정무위)의 맞불 현수막. 사진 제공= 김한규 의원실.
23일 제주시 이도2동 교차로에 내걸린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국회의원(제주시을, 정무위)의 맞불 현수막. 사진 제공= 김한규 의원실.

23일 오전 제주시 이도2동 교차로에는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국회의원(제주시을, 정무위)의 현수막이 게시됐다.

현수막은 ‘4.3 영령이여, 저들을 용서치 마소서. 진실을 왜곡하는 낡은 색깔론, 그 입 다물라’는 내용이었다.

김한규 의원은 “제주4.3을 폄하하고 왜곡하는 망발을 해도 여당 최고위원으로 선출되는 국민의힘 때문에 벌어진 일이니 국민의 힘이 책임져야 한다”면서 “정당 현수막이라 철거를 못 한다는 선관위 해석을 듣고 분노를 담은 현수막을 설치하게 됐다”고 밝혔다.

또한 김 의원은 4·3 왜곡 현수막까지 옥외광고물법에 따른 ‘통상적인 정당활동으로 보장되는 정당의 정책이나 정치적 현안’에 관한 현수막으로 보호돼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김 의원은 향후 이러한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옥외광고물법 개정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