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4.3 망언으로 논란을 산 국민의힘 김재원, 태영호 최고위원. 

제주 4.3 왜곡·폄훼 발언으로 논란을 산 국민의힘 최고위원들이 제주를 찾아 사과 입장을 표명하기 위한 일정을 조율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14일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국민의힘 제주도당 등에 따르면 국민의힘 김재원·태영호 최고위원은 잇단 4.3왜곡·폄훼 발언을 사과하기 위해 4.3 유족회 방문 일정을 협의중에 있다.

국민의힘 중앙당으로부터 먼저  제안된 방문 일정은 아직 구체적인 날짜나 장소 등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이르면 다음주 초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두 최고위원이 어떤 내용에 대한 입장 표명을 할 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설화 이후 자숙의 시간을 갖고 있는 김 최고위원과는 달리 태 최고위원의 경우 도민사회의 사과 요구를 끝내 거부해 왔다.

도당 관계자는 "표현의 차이일 수 있지만, 4.3과 관련된 발언은 여야를 떠나 국민들의 보편적인 관점이 있다. 관련된 내용의 언급이 있지 않겠나"라고 전했다.

다만, 4.3유족회 관계자는 "만나자는 의사 표현으로 그냥 만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유족들의 의견도 들어봐야 할 상황"이라며 "그동안 사과 요구를 거부해 왔던 국민의힘 지도부가 과연 이 사안에 대해 진정성을 지니고 있는지도 의문"이라며 거리를 뒀다.

앞서 국민의힘 지도부는 4.3과 관련한 잇단 망언을 쏟아내며 도민사회의 공분을 샀다. 조율 중인 방문 일정도 당내 징계 가능성까지 논의되자 이를 수습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태 최고위원은 지난 2월 제주에서 열린 전당대회 과정에서 "4.3은 김일성 일가에 의해 자행된 만행"이라며 4.3의 역사를 왜곡했다. 국민의힘 내부적으로도 해당 발언에 대한 주의를 요구했다.

이후에도 태 최고위원은 제75주년 4.3추념식 당일 열린 국민의힘 최고위 회의에서 도민들의 사과 요구에 대해 "어떤 점에서 사과해야 하는지 납득이 되지 않는다. 내가 특정인들에 대해 조롱이나 폄훼를 한 일도 없다"며 거부했다.

심지어 태 최고위원은 취재진과의 질의응답 과정에서 "유족이나 피해자 단체가 내 발언의 취지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며 사과를 요구한 4.3유족들을 조롱하기까지 했다.

이에 더해 김재원 최고위원은 라디오 인터뷰 중 윤석열 대통령의 75주년 제주4.3희생자 추념식 불참 논란을 두둔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 국경일에는 삼일절, 제헌절, 개천절, 한글날이 있는데 대통령은 보통 삼일절과 광복절 정도 참석한다"며 "4.3 기념일(추념일)은 이보다 격이 낮은 기념일 내지 추모일인데 무조건 대통령이 참석하지 않은 것을 공격해대는 자세는 맞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의 발언은 4.3이 삼일절과 광복절보다 격이 낮다는 의미로 해석되면서 또다시 4.3 희생자와 유족, 도민들에게 상처를 안겼다. 급기야 여당 내부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